해피타임

팡야 _ 공 기울기를 정복해 보자(완벽공략, 오버랩 헬퍼) 본문

팡야_Pangya

팡야 _ 공 기울기를 정복해 보자(완벽공략, 오버랩 헬퍼)

푸르른이 2025. 1. 17. 01:15
반응형



 

존대는 생략하겠음.

 

먼저 공기울기에 대한 개념을 먼저 알아보자.

 

기울기는 공 중심을 기준으로 이렇게 단차로 표현 되는데 

기울기란 말그대로 공이 놓인 지면의 모양(단면)이다.

 

공 중간의 단차와 일치하는 기울기의 지면에 공이 놓여진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렇게 우측으로 기울어진 공을 샷하면 공이 우측으로 갈려는 회전이 걸린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에서 기울어진 쪽의 반대인 왼쪽으로 장판을 더보게 되는 것인데 

중요한것은 이런 이치를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정도를 모르기 때문에 제대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공기울기의 단차의 길이는 기울기의 정도를 의미한다.

긴 단차는 기울기의 세기를 의미한다.

단차가 길수록 기울기가 크고 단차의 간격이 좁을수록 기울기의 세기가 적다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그럼 위의 사진을 예시로 기울기 세는 법을 알아보겠다.

아래의 게시된 스마트 계산기를 기준으로 설명을 해볼까 한다.

장판을 기준으로 하는 것과 스마트 계산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1:4의 비율로 차이가 난다.

나는 장판을 기준으로 먼저 익혀버려서 스마트 계산기에 적용할때는 4를 곱해서 입력하는데

스마트 계산기를 처음 접하고 기울기의 개념이 생소한 사람을 위해 

스마트 계산기를 기준으로 설명 해볼까 한다.

 

먼저 중앙에 가상의 선을 긋는다.

 

가상의 선을 긋는 이유는 오목기울기나 볼록한 기울기를 읽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기울기정도를 기준 삼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리고 양쪽 끝에 가상의 선을 긋는다.

 

그리고 양쪽을 4등분한다.

 

왼쪽 상단의 가장 긴 검은선이 중앙에 닿으면 0.8이다

4등분되었으면 각각의 파란선은 0.2에 해당된다.

 

그림의 각각 선들에기울기를 표시해보면

 

이런식으로 표기될 수 있다.

그럼 이걸 기준으로 기울기를 읽어보자

 

우선 공의 반씩 나눠서 각각의 기울기를 구한다.

공의 반을 나누는 이유는 추후~오목과 볼록 기울기보는 법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좌측의 기울기를 구해보자 검은 선도 기울기지만 선이 없는 빈공간도 기울기에 포함되기 때문에

위의 검은선과 아래의 빈공간의 기울기도 같이 구한다.

 

 

왼쪽 기울기 둘을 합하니 1.11

 

 

우측의 기울기의 합은 2.88

 

공의 기울기가 양쪽 둘다 같은 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 기울었으니 둘은 더해야하는 기울기이다.

왼쪽과 오른쪽의 기울기를 더하면 1.11 + 2.88 = 3.99 대충 반올림해서 기입해도 되고 이값그대로 기입해도 칩인하는데 큰 지장은 없다.

스마트 계산기에 4를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장판으로 환산하면 1.0칸에 해당하는 기울기)

 

참고로 비거리 80%힘에서 기울기는 44%정도 밖에 타지 않기 때문에 

80%의 힘으로 샷을 친다면 실제 적용되는 기울기는 1.76정도 일것이고 장판으로 환산한다면 0.44칸 정도가 적용되는 셈이다.

50%힘으로 샷을 하면 13%의 기울기만 적용된다. 그래서 짤덩은 기울기를 어느정도 비슷하게만 봐도 칩인하기 쉽다.

 

짤덩이 기울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 이유는 짤라칠수록 직직하려는 힘이 강하기 때문인데(실제 쳐보면 타구의 괘도가 낮고 첫 바운딩후 런이 길다)

기울기로 인한 회전은 직진하려는 힘이 약해질수록 강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길게칠수록 타구의 괘도가 높아지고 착지점에 가까워 질수록 낙하하면서 직진의 힘이 약해지기 때문이다.(착지후 런이 짤덩보다 낮다) 이것은 특수샷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제 오목과 볼록기울기를 보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기본적으로 둘의 기울기를 보는 방법은 같은 이치이기 때문에 둘 중 하나만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습모드에서 먼저 나오는 길기를 설명할 것이다

오목 기울기가 나왔다.

 

기울어진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빼줘야하는 기울기다(좌측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우측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기울어짐) 

양쪽의 기울기를 구한후 많은 쪽에서 적은 쪽을 뺀다.

0.78이 나왔다.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니 왼쪽으로 더봐야하는 기울기다.

좌측으로 더봐야하는 기울기이니 -0.78을 입력해 적용한다.(우측으로 더봐야하는 기울기일때는  (+)0.78 입력)

장판칸수로 환산하면 -0.195 약 -0.2칸에 해당한다.

 

계산한 후  샷

 

칩인 확인

오목기울기 자리 찾는다고 페어에서 퍼팅으로 이리저리 굴려서 더블보기한거는 안비밀

 

물론 길기를 저렇게 세세하게 세면 시간도 많이 걸리고 하니까 잔잔한 수치는 날려고 계산해도 됨.

계산식을 알려주려고 상세하게 계산한 것도 있으니 감안하고 보기바람.

 

되도록이면 길기가 심한거는 그냥 못박는 걸 추천하고, 아이템이 없거나 시간이 오래걸리지 않는 기울기 정도만 보고 치는게 정신 건강에 이로움

 

볼록 기울기 역시 양쪽의 기울기를 구한후 많은 쪽에서 적은 쪽으 뺀 값을 많은 쪽에 적용해서 입력하면 됨.

 

 

그리고 사실 더 정확하게 기울기를 뽑으려면 핀중앙에 중심선을 맞추고 공기울기를 보는 것이 아니라

샷 해야 하는 칸수로 옮긴후 공기울기를 봐야 더 정확하나 기울기를 모르면 샷해야 하는 칸수를 모르니 난감한 것임.

 

우리가 보통 읽은 기울기와 다르게 샷이 빗나가는게 바로 이런 이유때문인데

복잡한 지면에서는 조금만 방향을 틀어도 기울기가 달라지는 곳이 있음.

이런 곳이 사람들이 흔히들 말하는 사기 기울기인 거임.

만약 이런 곳이 있다면 샷을 해야하는 칸을 어느정도 짐작해서 옮긴 후 그자리에서 기울기를 읽고 적용하면

칩인 정확도가 높아지는데 굳이 그럴 필요까지 없으니 그냥 못을 박는게 정신 건강에 좋을 듯 

 

기울기를 볼려면 기준선이 필요할테니 

내가 만든 헬퍼를 공유 하겠음

물론 비디오 세팅은 내거에 최적화되어있으니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권장함.

 

오버랩헬퍼가 적용된 화면에 공쪽에 가이드라인이 좀 복잡한데

이건 정확하게 커브와 스핀을 동시에 주려다 보니 이렇게 된거임(예 15커브 5스핀)

엑팡으로 스핀커브를 옮겨보니 계산기대로 전혀 안들어가서 수동으로 만들어 쓰는거임.

나에게 있어서는 엑팡은 칸수표시 그이상도 그 이하도 아님

(기울기도 바람각도 엑팡을 안씀 왜냐면 내가 더 정확하니까-_-... 진짜임~ 좀 믿어주삼)

압축을 풀어보면 보면 여러 버전의 헬퍼들이 있으니까 자신에게 맞는 걸 찾아서 쓰면됨.

일단 이 최신버전의 경우 공에 그어진 세로줄은 커브가이드선과 기울기 가이드 선인데

붉은 세로선은 커브가이드로 커브5마다 그어져 있고, 파란색 세로라인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기울기 가이드라인임.

다른 버전에서는 커브가이드라인은 없고 기울기 가이드라인이 빨간색으로 그어져있음

취향대로 선택해서 사용하면 됨

사용법은 오버랩 웰페이퍼(이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헬퍼를 만든거임)를 아래에 오버랩 웰페이퍼 사용법을 링크할거니 

오버랩헬퍼 사용법은 생략하겠음

기울기와 계산기 사용법을 작성해서 더 이상은 지겨워서 못하겠음~

그럼 즐팡하삼.

 

아래는 오버랩헬퍼 링크와 오버랩 웰페이퍼 사용법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vYnMbhTfIGgw2SeMcm2kBcXxoGcjzS27/view?usp=sharing

 

https://www.opcstory.com/2023/02/blog-post_90.html

 

 

사용법 링크 내용에 포토사이즈와  투명도 설정, 포지션에 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스샷을 추가

위 스샷처럼 수치를 설정해 주면 됨 

좀더 투명하게 하고 싶으면 포토 트랜스퍼런시 수치를 낮춰주면 더 투명해지고 높이면 불투명해짐

 

그럼 진짜 끝~

반응형
Comments